본문 바로가기
관련주

OLED 증착 관련주 총정리 TOP5 (업데이트) | 대장주, 테마주 | 관련주닷컴

by 트레이더 J 2022. 6. 22.

🔊전업트레이더들이 보내주는 당일 주식속보

구독자 독보적 1위 주식텔레그램에서 빠른 주식뉴스를 무료로  받아보세요!

👇🏻👇🏻
https://abit.ly/속보관련주받기

 

 

📩전업트레이더들이 매일 선별한 관심종목

플러스친구 추가하고 받아보세요!

👇🏻👇🏻

https://abit.ly/관심종목받기


 

 

LED 디스플레이 패널의 8.5세대 양산은 현재 업계의 공통 목표다. 디스플레이 업체는 ‘원장’ 또는 ‘마더글래스’라고 불리우는 유리기판을 쪼개서 패널을 만들며, 원장의 크기와 세대 숫자가 비례하는 의미를 가진다. 디스플레이 원장의 세대는 점점 커지는 방향으로 진화하고 있다. 1세대가 ‘270x360mm’에서 출발했고, 8세대급은 업체마다 기준차이가 있으나 ‘2200x2500mm’ 수준이다. 원장이 제조 공정에서 커질수록 한 번에 더 많은 패널을 만들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작은 원장을 순차적으로 투입하는 것보다 큰 원장을 투입해 한 번에 생산하는 것이 더 높은 공정 효율(시간당 생산량 증가)을 보인다. 또한 높은 세대의 원장이 대형 패널을 만드는 데 적합하다는 평가다.여기서 필수 공정 장비가 증착기다. 증착기는 적(R)·녹(G)·청(B) 화소를 형성하는 핵심 장비다. 

 


1. HB테크놀러지

기업개요

 

  • 동사는 1997년 국내 외 LCD 및 AMOLED 검사장비의 최첨단 제품 생산 등을 주 영업목적으로 설립되었으며 2004년 코스닥시장에 상장함. 2013년 LCD 백라이트유닛인 도광판 확산판을 제조/판매하는 소재사업을 추가함. 주요 거래처는 삼성디스플레이, 중국의 BOE, 대만의 INNOLUX 등이 있음. 2009년 고객사와의 협력개발을 통해 AMOLED 검사장비 개발에 성공하였으며, 현재 주요 매출품목으로 성장함.

 

  • 2021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42.1% 감소, 영업이익 적자전환, 당기순이익은 221.3% 증가. 종속기업인 에이치비솔루션(주)는 2021년 7월 1일 케이맥(주)를 흡수합병하여 연결제무제표에서 제외됨에 따라 매출액은 전기대비 약 42.06% 감소한 158,891백만원이며, 당기순이익은 9,331백만원임. 국내외 코로나19 영향으로 경영여건 악화됨.

 

    기업실적분석

    OLDE 관련주 편입 이유

     

    2. 에프엔에스테크

    기업개요

     

     

    • 동사는 2002년 3월 18일에 평판디스플레이관련 장비와 반도체 제조용 부품소재 등의 제조 및 판매를 목적으로 설립되었음. 동사는 고객사의 Flexible 양산 라인에 Wet장비인 식각기, 박리기, 세정기를 공급하고 있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해외 시장 진출이 전망 됨. 부품소재부문에서 동사는 세계 제일의 수준의 UPW System을 제조하고 있으며,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패널 업체에 성공적으로 납품하여 경쟁력을 높이고 있음.

     

    • 2021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8.1% 감소, 영업이익은 78.9% 감소, 당기순이익은 81% 감소. 동사의 기존 디스플레이 장비뿐만 아니라 수익성이 우수한 부품소재관련 매출의 증가로 사업부문간 비중의 변화가 예상됨. 동사가 개발중인 CMP PAD는 반도체 시장의 정교화 되는 공정에 따라 계속 변화하고 있으며, 동사의 재사용 CMP 패드의 시장 점유율은 지속적으로 확대가 예상됨.

     

    기업실적분석

    OLDE 관련주 편입 이유

     

    3. 선익시스템

    기업개요

     

     

    • 동사는 1990년 5월 24일에 설립 되었으며, OLED 장비 제조 및 판매를 목적으로 운영되고 있음. 소형 OLED 증착기 시장에서 독보적인 전세계 M/S 1위 업체로서 지위를 확고하게 유지하고 있으며, 300mm 웨이퍼 양산장비를 생산한 유일한 업체로 경쟁력을 보유함. 기타 R&D, 물질공급용 및 준 양산을 위한 중.소형 증착기의 경우는 동사의 시장점유율이 약 80% 이상으로 추정됨.

     

    • 2021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9.6% 감소, 영업이익 적자전환, 당기순이익 적자전환. 매출액 감소 요인은 수주가 부진했던 탓임. 영업손실은 71.3억원으로 전기 대비 적자전환 함. 전기대비 R&D비용이 큰폭으로 증가한 영향이 컸음. 전기 대비 법인세 비용이 감소하였으나 비용 증가세가 큰 탓에 당기 순손실 101억이 발생, 당기순이익은 전기 대비 적자로 전환함.

     

    기업실적분석

    OLDE 관련주 편입 이유

     

    선익시스템은 소형 OLED 증착기 시장에서 독보적인 전세계 시장점유율 1위업체다. 또한 마이크로 디스플레이용 OLEDoS 증착기 시장에서 300mm 웨이퍼 양산장비를 생산한 유일한 업체로 알려졌다.

     

    https://www.inews24.com/view/1492146

     

    선익시스템, 8.5세대 OLED 선도한다…LG디와 증착기 개발중

    [아이뉴스24 고종민 기자] 선익시스템이 8.5세대 OLED 디스플레이 양산 공정의 핵신 장비인 증착기 양산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삼성전자, LG디스플레이, 중국 BOE 등 OLE

    www.inews24.com

     

    4. 야스

    기업개요

     

    • 동사는 OLED 디스플레이 패널 제작을 위한 장비 중 증착공정 장비에 속하는 증착시스템, 증착원을 제작 판매하는 사업을 영위하고 있음. 동사가 영위하고 있는 OLED 제조 공정은 폴리이미드 코팅 및 경화 -> LTPS TFT 제조(열처리, 결정화 공정 포함) -> 유기물 증착 -> 봉지 -> 유리기판 제거(LLO) 공정으로 구성됨. 동사는 전세계에서 유일하게 증착기와 증착원 모두 양산 성공경험을 보유하고 있음.

     

    • 2021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9.7% 감소, 영업이익은 36.1% 감소, 당기순이익은 82% 감소. 동사는 전방산업의 대형 OLED 투자 지연 등으로 인해 전기대비(연결기준) 9.7% 감소한 497억원의매출을 기록함. 국내 패널업체 뿐만 아니라 중국계 디스플레이 패널업체인 BOE, CSOT 등과 의 OLED 투자 증가로 디스플레이 장비 제조 업체들에게 우호적인 시장 환경이 조성될것으로 기대됨.

     

    기업실적분석

    OLDE 관련주 편입 이유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21011964201

     

    야스, OLED 증착장비 강소기업…LG가 주요 고객사

    야스, OLED 증착장비 강소기업…LG가 주요 고객사, 연세대 교원 창업기업

    www.hankyung.com

    5. 힘스

    기업개요

     

    • 동사는 디스플레이 제조사에 OLED 제조관련 Mask공정 및 Glass 검사공정에 관련 장비를 제조, 판매하는 사업을 주요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음. 동사의 주요 사업인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 공정 장비 사업은 디스플레이 패널 생산 업체들의 설비투자계획, 주기에 직접적으로 대규모 영향을 받는 것이 일반적임. 동사 매출비중을 보면 80% 이상이 OLED장비가 차지하며, 최근에는 매출 다변화를 위해 반도체관련 장비 개발에도 힘을 쏟음.

     

    • 2021년 12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52.4% 감소, 영업이익 적자전환, 당기순이익 적자전환. 2021년은 주고객사에서 중소형 OLED에 대한 투자가 주춤하면서 매출이 대폭 감소하는 어려운 한 해였음. 수요 감소로 동사 매출이 급감함. 다만, IT산업의 발전으로 디스플레이의 수요는 계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보여지고 있어 추가적인 투자를 기대하는 상황임.

     

    기업실적분석

    OLDE 관련주 편입 이유

     

    https://www.newstomato.com/ReadNews.aspx?no=763142 

     

    (IPO플러스)힘스, 삼성 OLED 투자의 확실한 수혜주

    [뉴스토마토 신항섭기자] 반도체·디스플레이 관련 검사장비 제조기업 힘스가 7월 중 코스닥 시장에 상장한다. 힘스는 지난 2005년부터 2015년까지 19.9%의 성장률을 보이고 있는 기업이다. 특히 지

    www.newstomato.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