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관련주

CDMO 관련주 TOP3(업데이트) | 대장주, 테마주 | 관련주닷컴

by 규르규르 2024. 7. 8.

주식속보와 관련주를 받고 싶다면 아래 공지 읽어주세요!

 

📌실시간으로 관심종목, 주식속보 받아보는 방법!

전업트레이더들이 보내주는 당일 주식속보 구독자 독보적 1위 주식텔레그램에서 빠른 주식뉴스를 무료로 받아보세요! 👇🏻👇🏻 https://abit.ly/속보관련주받기 📩전업트레이더들이 매일 선별

related-stocks.tistory.com



1.  바이넥스

 

 

기업개

  • 1957년 12월에 설립되어 2000년 4월 바이넥스로 상호를 변경하였으며 2001년 7월 코스닥시장에서 매매거래가 개시되었음. 국내 대부분의 제약 기업 및 바이오 기업이 개발하고 있는 바이오 의약품의 개발 및 생산을 수행하고 있음. 동사는 2009년 송도 공장(한국생물산업기술실용화센터, KBCC) 민간 위탁 경영을 시작으로 CDMO 사업을 영위하며, 다수의 바이오 의약품 개발 과제를 성공적으로 수행하였음.

 

  • 2024년 3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38.4% 감소, 영업이익 적자전환, 당기순이익 적자전환. 부문별 매출액 중 바이오매출액 66%, 분석센터매출액 96% 전분기 대비 감소함에 따라 매출액이 크게 감소하였음. 바이오의약품 송도공장은 상용화 준비 및 대내외적 바이오산업의 경기 침체 등의 사유로 국내외 고객과의CDMO(항체 바이오의약품 위탁생산. 개발) 수주 계약이 감소하여 전체 매출이 감소하였음.

 

기업실적분석

 

관련뉴스

 

[특징주] 바이넥스, CDMO 최대 수혜주로 부각…새로운 신고가 쓰나

바이넥스(053030)는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5일 오전 11시 전 거래일 대비 2860원(18.42%) 오른 1만8390원을 기록했다.지난 1월 25일 미국 하원에서 발의된 ‘생물보안법’은 중국 공산당과 연계된 기업이

www.widedaily.com


2.  아미코젠

 

기업개

  • 동사는 2000년 설립된 제약용 특수효소 개발 기업으로, 2013년 코스닥 시장에 기술성장기업으로 특례상장함. 특수효소 기술을 확장하여 헬스케어 소재와 브랜드 사업(K-NUTRA) 및 바이오의약 소재(Protein A 레진, 배지 등) 사업 등을 영위. 제약용 특수효소인 아목시실린 합성효소(SP효소) 및 세파계항생제 합성효소(SC효소)를 개발, 사업화 진행 중. 단백질 분리 정제용 레진 개발 및 사업화도 추진중.

 

  • 2024년 3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10.5% 감소, 영업손실은 306.4% 증가, 당기순이익 적자전환. 종속회사의 ceftiofur 매출이 급감한 영향으로 외형 축소된 모습이며, 이의 영향으로 영업손실 폭도 확대된 상황. 기존 공정 대비 높은 수율, 에너지 소비 및 폐기물 절감의 효과가 있는 친환경적 특수효소를 개발, 환경규제가 높아질수록 많이 이용되고 있는점 긍정적으로 평가.

 

기업실적분석

 

관련뉴스

 

[특징주]아미코젠, 美생물보안법 강화할 것…국내유일 CDMO 핵심재료 국산화 부각↑ - 아시아경제

아미코젠이 강세다. 미국 생물보안법이 강화될 것이라는 분석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풀이된다. 5일 오후 1시37분 기준 아미코젠은 전일 대비 6.36% 상승한 5690원...

www.asiae.co.kr


3.  에스티팜

 

 

기업개

  • 동사는 2008년 8월 18일 유켐 주식회사로 설립되어, 2010년 9월 30일 삼천리제약을 흡수합병하면서 상호를 에스티팜으로 변경하였음. 주요 제품은 신약 원료의약품이며 세부적으로 RNA 치료제의 주원료인 올리고와 저분자 신약 CDMO 그리고 제네릭 CMO 사업, 자체신약 개발로 사업 영역을 나눌 수 있음. 희귀질환 위주로 개발되던 올리고핵산치료제가 만성질환으로 그 개발 영역이 넓어지면서 올리고 원료 수요가 증가함.

 

  • 2024년 3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1% 증가, 영업이익은 49.3% 감소, 당기순이익은 64.6% 증가. 매출액 증가폭 대비 매출원가가 27.8% 증가하면서 영업이익이 감소함. 미국 FDA로부터 최고등급의 cGMP 인증을 받음으로써 고지혈증치료제 올리고 신약의 상업화 물량을 본격적으로 수출할 수 있게 됨. 임상 중인 올리고 신약들이 후기 임상 단계로 순조롭게 진행 중임.

 

기업실적분석

 

관련뉴스

 

'CDMO 본궤도' 에스티팜, 이제는 'R&D' 대표 교체 승부수

국내 최고 자본시장 미디어 thebell이 정보서비스의 새 지평을 엽니다.

www.thebell.co.kr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