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특징주분석

7월10일 덴티스, SQ 임플란트 中 허가 및 본격 시장 진출 소식에 주가 상한가 (임플란트 관련주)

by 알 수 없는 사용자 2023. 7. 10.

전업트레이더들이 보내주는 당일 주식속보

구독자 독보적 1위 주식텔레그램에서 빠른 주식뉴스를 무료로  받아보세요!

👇🏻👇🏻

https://abit.ly/속보관련주받기

📩전업트레이더들이 매일 선별한 관심종목

플러스친구 추가하고 받아보세요!

👇🏻👇🏻

https://abit.ly/관심종목받기



 

 

코스피는 외국인과 기관의 동반 매도 속 5거래일째 하락 마감했다. 중국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마이너스 문턱에 선 가운데 중국의 경기 둔화 경고음이 커지며 투심이 얼어붙은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주 미국 증시가 실업률 등 예상보다 견조한 고용 지표 탓에 일제히 하락한 것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10일 코스피는 전 거래일 대비 6.01p(0.24%) 하락한 2520.70에 거래를 마쳤다.

코스피는 이날 소폭 상승하며 장을 열었지만 이내 하락 전환했고, 오후 들어서 재차 상승하다 결국 하락 마감하는 등 오르락내리락 장세를 연출했다. 코스피는 지난 4일 이후 5거래일 연속 하락 마감하며 2520선까지 내렸다.

이날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1549억원, 1906억원 순매도한 반면 개인 투자자들은 홀로 3126억원을 순매수했다.

외국인과 기관은 지난 6일 이후 3거래일 연속 쌍끌이 매도에 나서며 지수 하락을 부추기고 있다. 외국인과 기관은 이 기간 각각 3688억원, 1조3768억원어치를 팔았다. 개인은 1조6302억원을 사들였다.

특별한 이벤트 부재 속 중국 6월 소비자물가, 생산자물가 상승률이 예상보다 더 큰 폭 하락하며 디플레이션 우려가 커짐에 따라 시장 참여자들의 베팅이 엇갈린 모습이다.

 

 

https://view.asiae.co.kr/article/2023071010432916368

 

[특징주]덴티스, 대규모 증설로 '제2의 오스템임플란트' 꿈꾼다…중국 프리미엄제품 허가

임플란트 기반 디지털 덴티스트리 기업 덴티스가 강세다. 임플란트 프리미엄 제품인 ‘SQ 임플란트’에 대한 중국 국가약품감독관리국(NMPA) 허가와 관련해 모든 ...

www.asiae.co.kr

 

임플란트 기반 디지털 덴티스트리 기업 덴티스가 강세다. 임플란트 프리미엄 제품인 ‘SQ 임플란트’에 대한 중국 국가약품감독관리국(NMPA) 허가와 관련해 모든 등록 및 확인 절차를 마쳤다는 소식이 주가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인다.

10일 오전 10시42분 덴티스는 전날보다 18.95% 오른 1만3430원에 거래되고 있다.

 

중국 NMPA 허가는 시장 내 의료기기 제품 수출을 위한 필수적인 인증 절차다. 기존 위생허가(CFDA)보다 중국 임상 데이터 기반의 품질 및안전성 측면에서 엄격한 기준이 적용된 국가약품감독관리국의 위생허가 제도다.

 

덴티스는 중국 현지 대리점을 통해 허가받은 구형 제품만 공급했으나 NMPA 허가를 기점으로 중국 법인 체재로 직영 영업 화로 전환하면서덴티스의 최신 프리미엄 임플란트 SQ를 공급할 수 있다. 시장 경쟁력을 확보하고 브랜드 인지도를 높일 것으로 기대했다.

 

관계자는 "이달부터 바로 200만 달러 규모의 초도 물량을 출하할 계획"이며 "동시에 중국 시장 내 브랜드 출시를 빠르게 추진하고 차별화된 포지셔닝을 위한 공격적인 마케팅 전략도 추진한다"고 말했다.

 

덴티스는 생산능력과 유통환경을 고려해 중국 시장에만 연내 800만달러 이상의 SQ 임플란트 매출 확대와 더불어 전년 대비 중국 부문 연매출 150% 성장을 목표로 하고 있다. 내년 준공하는 신공장을 통해 생산량을 확보하면 매출 성장 및 시장점유율을 확대하는 데 더욱 탄력을 받을 것으로 전망했다. 지속적인 브랜드 인지도와 시장점유율 강화를 바탕으로 오는 2차년도 VBP 입찰에서 성과를 거둔다는 계획이다.

 

덴티스 관계자는 "NMPA 허가를 기점으로 중국 시장에서 큰 폭의 성장이 전망되는 만큼 적극적인 투자를 이어갈 계획"이라며 "중국의 VBP정책이 시행된 이후 시장에 진입하는 만큼 현지 시장에 대한 이해도를 바탕으로 철저한 현지화 전략으로 빠르게 브랜드 인지도와 점유율을 높이는 데 총력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정현 교보증권 연구원은 "내년 1월 신공장 준공을 통해 해외 진출을 위한 준비를 하고 있다"며 "임플란트 설비는 1000억원 규모에서 3500억원 규모로 늘어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해외 시장을 적극 공략하며 내년 1500억원, 2025년 2000억원까지 성장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오스템임플란트는 지난달 28일 주주총회에서 상장폐지 승인 건을 의결하고 한국거래소에 상장폐지를 신청했다고 공시했다. 오스템임플란트는 중국을 비롯해 해외 시장을 적극 공략하면서 성장을 이어가고 있다.

 

 

 

 

 

지속되는 하락장에 오늘 덴티스는 상한가에 도달을 했습니다.오스템임플란트가 부재한 상황에서 임플란트 프리미엄 제품인 ‘SQ 임플란트’에 대한 중국 국가약품감독관리국(NMPA) 허가와 관련해 모든 등록 및 확인 절차를 마쳤다는 소식에 급등을 했습니다. 중국도 노령화가 지속되고 신생아 출산비율이 떨어지고 있다고 합니다.

 

https://www.asiatoday.co.kr/view.php?key=20230515010008158 

 

끝내 현실로 나타난 中의 인구 감소와 노령화

중국의 인구 감소와 노령화가 드디어 현실로 분명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이에 따라 중국의 국가경쟁력 역시 서서히 약화될 것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더불어 2035년까지 미국을 제

www.asiatoday.co.kr

 

 

 

중국의 인구감소와 노령화가 지속된다면, 많은 노인들이 임플란트를 하게 될것이고, 중국산 임플란트보다 우리나라 프리미엄 임플란트에 대한 수요가 지속 늘것으로 예상이됩니다. 덴티스는 단타종목이 아니라 장기투자로 모아가면 나중에 실적이 찍히는 우량주로 변해있지 않을까 생각해봅니다.


 

 

 

덴티스의 전체 차트를 보면 전고점을 돌파하면서 이제 또 다른 차원의 신고가 영역이 이뤄질것 같습니다. 바로 전고점을 돌파하는것보다 전고점에 있는 물량을 조금 매집한다음 시간조정을 거친후 신고가를 돌파할것으로 예상되네요.

관심있게 지켜보면 좋을종목인것 같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