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관련주

스레드 3탄 관련주 TOP3 (업데이트) | 대장주, 테마주 | 관련주닷컴

by 규르규르 2023. 7. 7.

전업트레이더들이 보내주는 당일 주식속보

구독자 독보적 1위 주식텔레그램에서 빠른 주식뉴스를 무료로  받아보세요!

👇🏻👇🏻

https://abit.ly/속보관련주받기

📩전업트레이더들이 매일 선별한 관심종목

플러스친구 추가하고 받아보세요!

👇🏻👇🏻

https://abit.ly/관심종목받기



1.  한국정보인증

 

 

기업개요

  • 동사는 국내 최초의 인증기관으로서 인증서의 발급, PKI 솔루션 개발 및 판매, SSL(웹보안서버) 판매, 바이오인증서비스 등을 영위하고 있음. OTP(One Time Password: 일회용 비밀번호)제품을 주사업으로 영위 하고 있는 ㈜미래테크놀로지와 '21.09.15일부로 합병을 완료함. 가상자산 서비스 사업, 지문인증 서비스 사업 등의 분야로 확장을 추진 중임.

 

  • 2023년 3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0.9% 감소, 영업이익은 62.3% 감소, 당기순이익은 74.8% 증가. 판관비의 증가로 영업이익 악화됨. 금융수익 증가 및 지분법손익 증가로 당기순이익은 증가함. 동사는 인증기관 중 가장 많은 등록대행기관을 보유하고 있으며, PKI기술 해외 수출실적은 국내 1위임. 이를 토대로 신제품 개발과 제품의 다양화, 소비자의 편리성에 대하여 선제적 투자로 시장의 영역을 넓혀갈 계획임.

 

기업실적분석

 

관련뉴스

 

[특징주]한국정보인증, 스레드 첫날 가입자 3000만명 돌파..종속기업 와이즈버즈 '上'

[파이낸셜뉴스] 한국정보인증이 장중 강세다. 이른바 '트위터의 대항마'로 평가받는 페이스북 모회사 메타의 새 소셜미디어서비스(SNS) '스레드(Threads)'의 흥행이 이어지면서 영향을 받은 것으로

www.fnnews.com


2.  이엠넷

 

 

기업개요

  • 동사는 2000년 4월에 설립되어 국내 주요 인터넷 포털사이트를 통한 광고기획 및 광고대행사업을 주 사업으로 하고 있음. 디지털 통합마케팅 사업영역에서 디지털 마케팅 현황을 분석하고, 디지털 광고 기획, 광고 집행과 성과 관리,광고 분석 솔루션 제공 등의 사업을 영위함. 동사는 글로벌 플랫폼 업체 및 글로벌 솔루션 업체들과 파트너십을 맺고 자체 기술력으로 솔루션을 개발하여 국내와 일본에 특허 등록함.

 

  • 2023년 3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25% 감소, 영업이익은 93.5% 감소, 당기순이익은 55.5% 감소. 동사는 2021년 하반기부터 종속회사인 (주)더브록스를 통해 이커머스 사업에 진출하여 사업다각화를 추진하고 있음. 동사는 디지털 마케팅 및 브랜드 컨설팅 전문 기업 코마스인터렉티브를 인수하여 브랜딩 마케팅 분야까지 확장하여 디지털 통합 마케팅 시장에서 경쟁력 강화를 도모하고 있음.

 

기업실적분석

 

관련주 편입이유


3.  비트나인

 

 

기업개요

  • 동사는 국내 유일의 그래프 데이터베이스 전문 기술기업으로, 그래프 데이터베이스 소프트웨어를 제작, 판매하고, 이러한 소프트웨어를 기반으로 한 다양한 그래프 기술 전문서비스를 수행하는 기업임. 주요 사업모델은 그래프 데이터베이스 소프트웨어 License 판매와 그래프 데이터베이스 기술서비스 판매임. 세계 최초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와 그래프 데이터베이스를 함께 묶어놓은 하이브리드 그래프 데이터베이스를 개발함.

 

  • 2023년 3월 전년동기 대비 연결기준 매출액은 55% 증가, 영업이익은 84.9% 감소, 당기순이익 적자전환. 동사는 글로벌 테크 기업 한국레노버와 T1(최고등급) 파트너십 계약을 체결하여 사업 다각화를 이루고, 새로운 성장 기회를 마련하였음. 한국철도공사와 오픈소스 데이터베이스관리시스템(DBMS) 제품인 '아젠스SQL(AgensSQL)' 공급 계약을 체결.

 

기업실적분석

 

관련뉴스

 

[특징주] 비트나인, 스레드 접속 폭주에.. 메타 납품 이력 부각 ↑

[파이낸셜뉴스]  스레드 관련 테마주들이 강세를 보이는 가운데 메타 테마주로 거론되는 비트나인의 주가도 상승세다. 과거 메타와의 납품 이력이 부각 되면서 관심이 몰린 것으로 풀이된다.7

www.fnnews.com


 

댓글